본문

서울 마포구의 한룸카페내부 모습.


한국일보 자료사진 청소년 10명 중 1명 이상이 청소년 출입·고용이 금지된 '룸카페'를 지난 1년 사이 이용해본 것으로 나타났다.


밀폐된 방 안에 침대와 화장실 등을 두고 영업하는 공간인데 남녀 아이들이 혼숙하는 일이 발생.


판매점 성인 인증 절차를 강화한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중·고등학생의 약 13%는 청소년 출입·고용을 금지한룸카페를 이용한 경험이 있다고 답변했다.


언론 매체를 통해 정보를 접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1일 여성가족부는 전국 17개 시도 초등학교 4.


변화를 반영하여 매체 조사 문항에 '짧은 영상(숏폼) 콘텐츠', '생성형 인공지능(AI)' 등을 추가했다.


또한 업소 조사 문항에 '룸카페'와 '멀티방'을 구분하고 유해약물 조사 문항 중 의료용 마약성 진통제 항목을 명확히 표현하는 등 문항을 변경했다.


청소년이 최근 한 달간 음주(13.


청소년이 최근 1년간룸카페(12.


6%)를 이용하거나, 의료용 마약성 진통제 등(0.


3%)을 사용한 경우도 있었다.


http://www.dn-thesharp.co.kr/


청소년이 아르바이트한 비율(7.


최근 1년간 청소년 출입·고용 금지 업소를 이용한 경험에 대해서는 조사대상 청소년 중 12.


6%가 '룸카페'를 이용했다고 응답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청소년 보호정책을 한층 강화해 나갈.


질문에는 의료용 마약성 진통제의 경우 31.


8%가 다른 사람(성인)을 통해 얻었다고 답했고, 의료용 마약류 식욕억제제는 30.


6%가 친구 또는 선배에게 얻었다고 답했다.


6%는 출입·고용이 금지된룸카페를 이용한 적이 있었다.


식욕억제제는 '친구 또는 선배에게 얻어서'(30.


청소년 출입·고용 금지 업소 가운데 이들이 가장 많이 이용한 곳은 '룸카페'(12.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경험률'은 6.


급여지급 방식으로는 '월급' 비율(10.


등)’ 등으로 수정한 결과 올해 응답률은 0.


청소년 출입·고용 금지 업소 중 청소년의 이용률이 가장 높은 곳은룸카페(12.


아르바이트를 해본 청소년은 6.


1%포인트 감소했고,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은 비율은.


이 밖에도 최근 1년간 청소년 출입·고용 금지 업소를 이용한 경험에 대해서는 조사 대상 청소년(중·고등학생) 중 '룸카페'를 이용했다는 응답이 12.


최근 1년간 의료용 마약성 진통제와 의료용 마약류 식욕억제제를 복용·사용한 경험이.

제 109회기 총회주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