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수출되는 한국 제품에 이달 중순부터 25%관세가 붙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공개한 개별 상호관세부과대상 국가에 한국이 포함되면서다.
다만 품목별관세가부과되는 철강과 자동차, 반도체 등 한국의 대미 주력 수출 품목은 상호관세.
트럼프 대통령은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을 적용해 5일부터는 모든 국가에 10% 기본관세를부과하고, 9일부터는 무역적자를 크게 기록하고 있는 한국 등 무역적자가 큰 국가에는 개별적인 상호관세를부과한다고 발표했다.
기아가 새 미국 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에서 자동차 생산을 50만대까지 늘리면 오히려 미국의 수입차관세부과상황이 더 유리할 것이라고 KB증권이 28일 예측했다.
강성진 연구원은 이날 '미국 자동차관세시뮬레이션' 보고서에서 "관세.
관세를 적용하는 상호관세를 고려해왔다.
그런데 미국무역대표부(USTR)가 일부 국가에 미국에 수출하는 제품 전반을 대상으로관세를부과하는 세 번째 선택지를 준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국가들에 대한 관세율은 20% 보편관세보다 낮을 가능성이 크다고.
무역장벽으로 지적한 바 있다.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월 13일(현지시)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에서 상호관세부과방침 관련 대통령 각서에 서명한 뒤 해당 각서를 들어 보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 오른쪽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후보자.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공식 발표했습니다.
우려대로 우리나라는 고율 관세국에 포함되면서, 25%의 상호관세를부과하게 됐습니다.
곧바로 워싱턴을 연결해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CNBC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이날 캐나다와 멕시코가 10%의 기본 관세율뿐만 아니라 국가별 상호관세부과대상에서도 당분간 제외된다고 밝혔다.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기본 10%의관세는 두 국가의 수입품에부과한 기존 25%의관세.
트럼프는 무역 장벽으로 인해 지난해 1조3000억 달러(약 1910조6100억 원)의 무역 불균형이 발생했다고 주장한다.
대신 상호관세부과로 연간 수천억 달러의 수입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한다.
무엇보다 미국 내 공장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오는 5일부터 10%의 기본관세를부과하고 미국과의 무역에서 흑자를 내는 국가에 대해 9일부터 추가로 징벌적관세를 얹는 상호관세부과방침을 발표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현지시간 2일 오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행한 연설에서 이런 내용의.